




🐙🍀🌿
미국 벗 김승덕 님이 덕유산 백련암을 찾았다 합니다
백련암은 임진왜란 때 왜병들이 들어오지
않은 사찰로서(왜병들이 고명을 듣고 회피)
이 절에는 서산휴정의 상좌인 정관
일선이 수도했고
시를 남겼 습니다
그 시는 행로난으로 우리 한국 최고 선시로서
백련암 입구에 새겨져 있습니다
정관 일선은 울산 발리 출신의 경성당 일선의 손 상좌 제자로서
그 스승이 휴정이니 손상좌가 정관 일선입니다
🐗🐧 行路難[행로난] 🐞🐸🐥
靜觀一禪[정관일선] 지음
早脫紅塵 出故關
[조탈홍진 출고관]
일찍 고향 떠나 속세를 벗었네
芒鞋踏破 遍名山
[망혜답파 편명산]
망혜 신고 명산을 두루 다녔네
昔年秋月 隨雲去
[석년추월 수운거]
작년 가을 달은 구름 따라 가고
今日春風 渡水還
[금일춘풍 도수환]
오늘 봄바람은 물 건너 불어오네 🐚
肉味那知 蔬味苦
[육미나지 소미고]
고기 먹는 속세인이 스님 나물 쓴 줄 어이 알며
錦衣誰識 衲衣寒
[금의수식 납의한]
비단 옷 속인이 승복 납의 추운 줄 어이 알랴
欲歸故園 煙霞裏
[욕귀고원 연하리]
저녁 노을 고향에 돌아가고파도
萬里悠悠 行路難
[만리유유 행로난]
만 리라 아득하니 가는 길도 어려워라
😕정관일선[靜觀一禪]😑
조선시대의 승려. 충남(忠南) 연산(連山) 출신. 성은 곽씨(郭氏). 호는 정관(靜觀). 15세에 출가하여 백하선운(白霞禪雲)에게 법화경(法華經)를 배우고, 후에 휴정(休靜)의 문하에서 수행하여 그의 법을 이어받음. 🐡
휴정(休靜) 문하의 4대 문파 가운데 하나인 정관문(靜觀門)의 창시자임. (수상좌인 사명 유정보다 더 큰 법맥 형성) 🐟
덕유산(德裕山) 백련사(白蓮寺)에서 입적함.
저서에 정관집(靜觀集)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