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68) 썸네일형 리스트형 신비의 산 돋질산 신비의 산 돋질산입니다. 돋질산 정상은 삼왕봉 입니다. 가운데 대왕을 중심으로 양쪽에 두 왕자를 거느리고 있습니다. 우뚝한 그 모습은 금강산 이상으로 아름답고 웅장합니다. (옛날 이 곳에 있던 고대왕국 불사국 관련 전설이 전합니다) 삼왕봉 아래 죽림 속에는 수 만년 솟는 물맞이탕 약샘이 있습니다. 이 샘은 한반도 기운을 용출하고 있다고 풍수인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 돋질산의 신비 / 이양훈 🌿⚘💮 기이해라 돋질산이여 땅은 뜨거워 화산 같고 찬 샘은 백두산 천지의 물이네 함부로 갈 수 없는 신비의 돋질산 도깨비가 밤낮으로 지키는 까닭에 돋질산차나무 🌿 돋질산에서 우리나라 최고 최대 차나무 숲이 발견되었습니다 울산 미포공단의 핵심인 50여 화학공장들 (이 중에는 삼성 반도체 포토레지스트 공장도 있습니다)의 가운데인 돋질산에서 놀랍게도 차나무 숲이 나타났습니다 🌱 이 돋질산 차나무 군락지는 옛날 신라 왕실에 공급하던 그 잃어버린 어수(御需) 다전(茶田)으로 보입니다 🍃 (경주에는 다림이 없습니다) 🌱🌿 돋질산차나무 / 이양훈 🍃🍒 공단 속의 돋질산 차나무숲 1500년 세월을 건너서 나타나다 🍒 인고의 세월을 견디고도 저리 푸르고 싱싱하구나 🍀☘🌿🌵🌴 대왕암공원 🌱 오늘 대왕암 공원에 수선화가 만발했습니다 🏵 어제 대왕교에서 30대 젊은 여자분이 투신하셨다네요. 안타깝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 동구 방어진 대왕암공원 대왕교에서 바다로 추락한 30대 여성이 해경의 밤샘 수색에도 불구하고 다음날 숨진 채 발견됐다. 해경은 정확한 사건 경위를 조사 중이다. 🌿 울산해양경찰서는 지난 15일 오후 7시 시50분께 울산동구 방어진 대왕암공원 대왕교 인근 해상으로 추락한 여성1명을 밤샘 수색 끝에 16일 오전 대왕암 북동 0.2해리 해상에서 발견했다고 밝혔다. 🐉 울산해경은 당시 대왕암 대왕교 위에서 신원미상의 사람이 해상으로 뛰어내리는 모습을 목격한 행락객씨의 신고를 받고 현장으로 출동했다. 방어진해경파출소 연안구조정과 울산구조대, 민간해양구조선과 .. 음식 😋🌿🍉반찬이 다섯 가지를 넘으면 독을 먹는 것이다😲😨 음식을 먹을 때에는 반찬의 가짓수를 3가지 정도로 줄이는 것이 좋다.📮 이를테면 보리밥에 시래기국 반찬으로 김치 한두 가지 나물 무침 한두 가지만 있으면 훌륭한 밥상이 된다. 반찬을 3가지에서 5가지 정도로 간소하게 하고 알칼리성 음식이면 알칼리성 음식으로 통일하고, 산성음식이면 산성식품 한 가지로 통일해서 먹어야 한다. ⛏고기를 먹을 때에는 고기로만 상을 차리고 채소를 먹을 때는 채소로만 상을 차리는 것이 좋다. 반찬이 다섯 가지를 넘으면 독을 먹는 것이다 우리 음식문화에서 가장 나쁜 것이 고기를 채소로 쌈을 싸서 먹는 것이다. 알칼리성 식품인 상추에 산성식품인 돼지고기를 싸서 식물성 기름과 같이 먹는 것은 세상에서 제일 어리석은 짓이다.🛢 그렇게 .. 이어담 🏝🏞 회야강 이어담에도 봄이 왔습니다. 🌷 조선시대에 부산 초량왜관으로 갈 하납공작미 5천석을 매년 실어낸 이어담에도 봄빛이 가득합니다 🌿 (이 5천석은 경상도 타지의 1만석과 합해져 대마도로 보내져 규슈에 투자되고, 대마번이 만든 도수 제약단지에서 기응환과 파스 류가 개발됨) 🐎 이어담 강가에 개나리 매화도 피었지만 물닭은 아직 떠나지 않았네요 🍊 🐋🐬 이어담 / 이양훈 🌷🌿 조선 후기 대마도 규슈를 이어담이 살리다 조운 범선 50척이 왜관으로 출발한 이어담 🐟 새 봄은 이제 무성해지건만 옛 이야기는 더욱 잊혀져 가네 🐉🐙🍒🍓 수선화 오늘 수선화 사찰 금어사를 찾았습니다. 🐟 🌻 온산공단이 된 우봉리의 이 금어사에는 수백 그루의 수선화가 동백꽃, 목련꽃과 함께 피었습니다 스님은 600만배를 달성하시고 책 3권을 내신 전직 고위 공무원 출신 늦깎이 스님이십니다 🌸🌱 금어사 / 이양훈 🌿🌺 수백 그루 수선화 사찰을 단장했네 그것도 부처님 위한 공덕이리라 🌱🌾🐇 생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수선화만 하염없이 피고 진다 ⚘🏵🌹🍁 가등샘 🗺🌋 서생성의 우물 가등(加縢) 샘인가? 아닌가? 🌱 서생 왜성 내 중앙에 이 우물이 있다. 여느 샘과 달리 사각형으로 안정되게 만들어 진 이 샘은 임진왜란 때 이 성을 쌓은 가등청정이 팠다는 말도 전해온다. 🍃 이 샘의 다른 명칭은 관청샘 이다. 임진왜란 이전에 는 서생포 만호영이 술마 쪽에 있었기에 그때는 관청샘이 없었다 🌿 임진왜란 이후 서생첨사도 사용했다는 이 샘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 🌿🌱 가등 샘 / 이양훈 🍎🍏 전형적인 일본샘 이라 하고 아니라고 하여서 들여다 본다 👲 물은 늘 맑고 청정(淸淨)하구나 새 봄 샘가 회화나무 잎이 열린다 🌱🌸🌳🌹 길묘 저녁 시간 산책길에 나섰다 가 매화를 보았습니다 어둠 속의 매화, 아름답고 요염하여 사진 찍는데 문득 깜짝 놀랐습니다. 매화나무 아래에 길고양이가 자고 있었습니다 길고양이가 자는 곳이 밭이며 트진 곳에서 자고 밝은 곳에서 자는 것임을 처음으로 알았습니다 이전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209 다음